항목 ID | GC08401201 |
---|---|
한자 | 仁村二里扶仁洞祭 |
영어공식명칭 | Inchon2ri Buin Dongje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의례/제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333-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여수경 |
중단 시기/일시 | 1970년대 - 인촌2리 부인 동제 제관을 선출하지 못하여 중단 |
---|---|
의례 장소 | 사수정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333-1
![]() |
성격 | 민간 신앙|동제 |
의례 시기/일시 | 음력 정월 15일 0시 |
신당/신체 | 느티나무 4그루[사수정]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부인 마을에서 지내던 마을 제사.
인촌2리 부인 동제는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부인 마을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위하여 올렸던 마을 제의이다.
인촌2리 부인 동제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으며, 마을의 입향조(入鄕祖)인 해주 오씨(海州吳氏) 7대부터 시작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970년대 새마을 사업 당시 동제를 지낼 시기 마을에 초상이 나면서 중단되었다. 이후 선석사(禪石寺) 주지에게 동제를 올려 줄 것을 부탁하였지만 “동신을 함부로 모실 수 없다.”고 하여 이후 더 이상 동신을 모시지 못하였다고 한다. 부인 마을의 당산은 이전부터 억세다고 알려져 있는데, 밖에서 들어오는 소의 질병이나 전염병이 억센 당산으로 인하여 침입하지 못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을 입구에 있는 느티나무 4본이다. 1본은 보호수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주변에 3본의 느티나무가 함께 자리하여, 마을 사람들이 사수정이라 불렀다. 지금은 보호수로 관리되는 느티나무 1본이 자리하며 정자목 또는 풍치목이라 불린다.
음력 정월 초하룻날 마을 회관에 주민들이 함께 모여서 제관을 선정한다. 제관은 흉사가 없고, 임산부가 없는 집으로 선출된다. 선출된 제관은 음력 정월 14일 오전 제수를 준비한다. 돼지 한 마리, 나물, 조기, 건어, 탕, 삼실과 등을 준비한다. 돼지는 구입처에 미리 깨끗한 것으로 부탁한다. 14일 저녁이 되면 돼지를 잡는 것을 도와줄 4~5명이 제관 집을 찾아온다. 제관과 함께 돼지를 나무에 묶어 제당 앞으로 간 뒤 소리를 내게 하는데 이를 두고 ‘울린다’라고 한다.
돼지를 다시 제관 집으로 가지고 온 뒤 손질하는데, 반은 삶고 반은 날 것으로 준비한다. 날 것의 돼지고기는 제수로 사용한다. 이때 사용하는 모든 물은 마을의 중앙에 있는 우물에서 길러온다. 제수가 준비되면 11시경 제당으로 이동한다. 제수를 진설한 뒤 0시가 되면 술을 올리고 절을 한다. 제의를 모두 마친 후 제관은 당신을 위한 소지-마을을 위한 소지-제관을 위한 소지를 차례로 올린 뒤 가가호호(家家戶戶) 소지를 올린다.
제의를 지낸 음력 정월 15일 아침이 되면 마을 회관에 주민들이 모두 모인다. 제수는 동일하게 나누는데 만약 참석하지 못한 사람이 있다면 음식을 싸서 직접 가져다주기도 한다. 비용은 각 가구마다 동일하게 거두며, 사용한 제기는 제관에게 수고 비용으로 준다.
인촌2리 부인 동제는 1970년대 중단되었으며, 2021년 현재 당산나무는 마을 정자목으로 활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