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0393 |
---|---|
한자 | 京山里下馬碑 |
영어공식명칭 | Gyeongsan-ri Hamabi Stele, Seongju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길 38-1[경산리 526-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은정 |
현 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길 38-1[경산리 526-1]![]() |
---|---|
원소재지 | 성주읍성 남대문 밖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예산리
![]() |
성격 | 하마비 |
재질 | 화강암 |
크기(높이, 너비, 두께) | 120㎝[높이]|49㎝[너비]|21㎝[두께]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 관왕묘지에 세워진 비석.
하마비(下馬碑)는 조선 시대 종묘, 서원, 향교, 궐문 등 입구에 세운 비석을 지칭한다. 하마(下馬)를 직역하면 ‘말에서 내려라’라는 명령어로, 신분, 지위를 떠나 하마비가 세워진 곳을 지나가는 사람이면 누구든지 말에서 내려 겸허한 마음을 가지고 선열에 대한 경의를 표하라는 의미에서 전국에 설치하였다.
1413년(태종 13) 2월 서울 종묘와 궐문 앞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표목(標木)을 세운 것이 시초로 이후 지방 관아에도 하마비가 설치되었다. 경산리 하마비(京山里下馬碑)는 조선 시대에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될 뿐 건립 연대가 새겨져 있지 않아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다.
관왕묘가 있던 관운사(關雲寺) 절 입구 왼편에 하마비가 위치한다.
경산리 하마비의 크기는 높이 120㎝, 너비 49㎝, 두께 21㎝로 화강암을 이용하여 상단을 둥글게 만들었다. 중간 부분이 부서져 있던 것을 다시 붙여 보수하였다.
하마비 전면에 ‘대소인개하마(大小人皆下馬)[누구든지 타고 가던 말에서 내리라]’라고 새겨져 있다.
조선 시대 하마비가 설치된 곳은 궁궐, 종묘, 향교 등 신성한 공간에 조성됨을 비추어 볼 때 관왕묘 역시 당시 예를 갖추고 경건한 마음가짐을 가져야 하는 공간임을 알려주는 역사 기념물로서 가치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