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1286 |
---|---|
한자 | 星州-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은숙 |
경상북도 성주 지역의 명소와 명물을 배경으로 만든 창작 민요.
「아리랑」에는 지역명을 제목으로 한 노래가 많이 전승되고 있다. 이 중에는 아리랑이 노동과 생활의 노래로 자연스럽게 전승된 경우도 있지만, 각 지방 자치 단체와 지역민을 중심으로 자신들의 지역을 대표하는 「아리랑」 사설을 찾거나 새롭게 만들어 지역을 알리고자 하는 바람으로 창작한 경우도 많다. 현재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성주 아리랑」의 경우는 주로 후자에 속한다. 2009년 4월 성주 출신 가수 백정기가 부른 「성주 아리랑」, 『성주 신문』[2012. 12. 26.]에 이명식[문학 박사]이 게재한 총 12절의 「아리랑」 사설, 2014년 이후 활동하고 있는 성주아리랑보존회의 전수 사설 등이 대표적이다. 현재 성주 지역의 「아리랑」 전승은 성주아리랑보존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09년 4월 성주 출신 가수 백정기가 부른 「성주 아리랑」, 『성주 신문』[2012. 12. 26.]에 이명식[문학 박사]이 게재한 총 12절의 「아리랑」 사설, 2014년 성주아리랑보존회의 전수 사설 등 창작 사설이 중심을 이룬다. 1983년 이후 학자들에 의해 채록된 성주 지역의 「아리랑」 사설이 존재하기는 하나 이는 서울·경기 지명식의 「아리랑」을 지역민이 부른 것이다.
지역명이나 지역 특산물이 노래 가사에 많이 차용되어 있다. ‘아리랑 아리랑 아리리요,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라는 아리랑의 대표 사설을 활용하였다.
『성주 신문』[2012. 12. 26.]에 이명식이 게재한 총 12절의 창작 「아리랑」 사설은 다음과 같다.
[전주]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1절] 가야산의 정기 받아 군민모두 활기차네
[후렴]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2절] 나도 살고 너도 살고 협동하여 농사짓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3절] 다문화도 함께 품어 돌봐주며 같이 사세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4절] 마을마다 참외풍년 최고품질 자랑하세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5절] 바다 같은 낙동강물 농사짓는 밑천일세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6절] 사과나무 주렁주렁 보기만도 군침 도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7절] 아름다운 성주강산 천하제일 명당일세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8절] 자랑거리 많고 많은 성주문화 꽃피우세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9절] 차도 많고 사람 많은 대도시의 인접지역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10절] 타지사람 모여 드네 전원주택 그만일세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11절] 파리장서 작성지로 애국정신 돋보이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이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12절] 하루해가 가기 전에 함께 모여 즐겨보세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아리랑」은 하나의 곡에 여러 개의 다양한 사설을 올려 부르는 일곡다사(一曲多詞)의 노래이다. 이에 그것을 향유하는 개인이나 단체는 그들의 특성이나 바람을 노래 사설로 만들어 아리랑을 향유하고 전승할 수 있다. 「성주 아리랑」의 전승과 향유도 이러한 맥락과 무관하지 않다. 다만 「성주 아리랑」이 그 정체성을 확보하고 지역의 대표적인 소리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성주 아리랑」이 지역민들에게 널리 알려지고 지역민에 의해 많이 불려야 한다. 「성주 아리랑」 전승과 관련한 중요한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