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1270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지애 |
채록 시기/일시 | 1979년 3월 31일 - 「그네 뛰는 노래」 이필순에게 채록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0년 - 「그네 뛰는 노래」 『한국 구비 문학 대계』7-4에 수록 |
채록지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리
![]() |
성격 | 민요|유희요 |
기능 구분 | 유희요 |
형식 구분 | 독창 |
가창자/시연자 | 이필순[여, 45세] |
경상북도 성주 지역에서 그네를 뛸 때 부르는 서사 민요.
1980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7-4에 수록되어 있다. 1979년 3월 31일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1동 유촌[현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리]에서 이필순[여, 45세] 제보자로부터 채록하였다.
「그네 뛰는 노래」는 혼자서 부르는 ‘독창’의 방식으로 구연된다. 특별한 가락 없이 읊조리듯이 가창되는 음영 민요이다.
「그네 뛰는 노래」는 아내와 여동생이 물에 빠지자, 남편은 여동생 대신 아내만 구하고 이를 본 여동생이 오빠를 원망하는 내용의 서사 민요이다. 주로 여성이 그네 뛸 때 구연하거나, 빨래 등의 노동을 할 때에도 구연한다. 「그네 뛰는 노래」는 올케와 시누가 물에 빠지게 되기까지의 내용을 담은 전반부와 여동생 대신 아내를 구한 오빠에 대한 원망과 여동생의 신세 한탄이 담긴 후반부로 나누어진다.
능청능청 저별끝에 / 능청능청 건디매여
올랐구나 올랐구나 / 시남매가 올랐구나
떨어졌네 떨어졌네 / 시남매가 떨어졌네
건질거야 건질거야 / 우리오빠 건질거야
나의손목 건졌다가 / 형아손목 건져주네
나도죽어 후상가서 / 낭군부뎡 설길라네
나도죽어 배암이되고 / 오빠죽어 개구리되세
오월이라 단오날에 / 미나리강에 만나보세
「그네 뛰는 노래」의 전반부만 축약된 형태로 「모심는 소리」의 사설로 많이 이용되며, 이 「모심는 소리」의 사설은 영남 지역 전역에서 활발하게 전승된다.
성주군 「그네 뛰는 노래」는 성주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된다. 「그네 뛰는 노래」는 오빠에 대한 원망과 비난이 강하게 표출된 유형과 후생에서 좋은 낭군을 만나고 싶은 바람을 표출한 유형이 전승된다. 두 유형 중에서는 좋은 낭군을 만나고 싶은 바람을 표출한 유형이 더욱 활발하게 전승된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에는 기억하는 사람이 거의 없어 전승이 끊어질 위기에 처해 있다.
「그네 뛰는 노래」는 그네 뛰는 장면을 묘사하는 「그네 노래」와는 구별되는 형태로 성주군에서 전승되는 귀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