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643
한자 李光迪
영어공식명칭 I Gwangjeok
이칭/별칭 휘고(輝古),은암(隱巖),이연(李演)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정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28년연표보기 - 이광적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50년 - 이광적 생원시와 진사시에 입격
활동 시기/일시 1656년 - 이광적 문과에 급제
활동 시기/일시 1706년 - 이광적 공조참판 파직
활동 시기/일시 1707년 - 이광적 지중추부사 제수
활동 시기/일시 1717년 - 이광적 공조판서 제수
몰년 시기/일시 1717년 12월 13일연표보기 - 이광적 사망
부임|활동지 이광적 부임지 - 전라남도 함평군
부임|활동지 이광적 부임지 - 강원도 강릉시
부임|활동지 이광적 부임지 - 강원도 영월군
부임|활동지 이광적 부임지 - 강원도 안변군
묘소|단소 이광적 묘소 -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사당|배향지 안산서원 -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자산3길 366-31[자산리 41]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성산
대표 관직 공조판서

[정의]

조선 후기 본관이 성산인 문신.

[가계]

본관은 성산(星山)[경상북도 성주군]. 자는 휘고(輝古), 호는 은암(隱巖). 초명은 이연(李演)이다. 문열공(文烈公) 이조년(李兆年)[1269~1343]의 12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대사헌 이언충(李彦忠)이고, 아버지는 이세미(李世美)이다. 아들은 이형보(李衡輔)이다.

[활동 사항]

이광적(李光迪)[1628~1717]은 1650년(효종 1) 생원시와 진사시에 모두 합격하였다. 1656년(효종 7) 문과에 급제한 후에 내외 관직을 두루 거쳤다. 전적·지평·정언·지제교 등을 역임하였고, 외직으로는 함평현감·강릉현감·영월군수·안변부사 등을 두루 거쳤다. 1706년(숙종 32) 공조 참판으로서 임보(林溥)의 옥사를 소홀히 다룬 죄로 파직되었다. 이듬해 80세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가 되어 치사하였다. 1710년(숙종 36) 사직(司直) 이광적은 조정에 도성(都城) 방비책과 내수(內守)·외어(外禦)의 방책을 진계하는 상소문을 올렸다. 도성을 굳게 지키는 계책을 극론(極論)하고, 이어 내수하는 일곱 가지 방책과 외어하는 여섯 가지 방책을 건의하였다.

1716년(숙종 42) 과거에 급제한 지 60년이 되던 해 대과(大科) 회방(回榜)을 맞아 숙종이 사화(賜花)[문무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임금이 하사하는 종이꽃]와 사연(賜宴)[나라에서 베풀어 주는 잔치]을 내리고, 연수(宴需)[잔치에 드는 물건과 비용]와 어제시(御製詩)[임금이 직접 지은 시]도 내리었다. 이를 기념하여 겸재(謙齋) 정선(鄭敾)[1676~1759]이 그린 「북원수회도(北園壽會圖)」 기록화가 전한다. 1716년 10월 22일에 이웃의 70세 이상의 전직 관료들과 그 자손들이 이광적의 정원에 모여 수연을 즐기는 모습을 그린 내용이다. 1717년(숙종 43)에 숭정대부(崇政大夫) 공조판서에 올랐다. 1717년 12월 13일에 90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묘소]

묘는 경기도 적성현(積城縣) 용지(龍池)[혹은 용연(龍淵)] 감악산 서쪽 꼭대기 부근에 있다. 적성현은 현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이다.

[상훈과 추모]

도곡(陶谷) 이의현(李宜顯)[1669~1745]이 묘지(墓誌)를 쓰고, 도암(陶菴) 이재(李縡)[1680~1746]가 신도비문을 썼다.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자산리 안산서원(安山書院)에 배향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