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0631 |
---|---|
한자 | 呂良裕 |
영어공식명칭 | Yeo Yangyu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진갑곤 |
활동 시기/일시 | 1380년 - 여양유 운봉 대첩 때 군량 공급 |
---|---|
출생지 | 여양유 출생지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백전리
![]() |
거주|이주지 | 여양유 거주지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백전리 |
사당|배향지 | 경재당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백전리
![]()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성산 |
고려 후기 성주 출신의 문신이자 성산 여씨 중시조.
여양유(呂良裕)[?~?]는 신라 때 전서(典書)를 지낸 여어매(呂禦梅)의 후손이다. 부인은 동정(同正) 이창간(李昌幹)의 딸이자 농서군(隴西君) 이장경(李長庚)의 외손녀인 벽진 이씨(碧珍李氏)이다. 아들 둘을 두었는데 중랑장(中郞將) 여위충(呂渭忠)과 판도판서(版圖判書) 여위현(呂渭賢)이다.
여양유는 충렬왕(忠烈王) 때 성주 본아리(本牙里)[현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백전리] 야동(冶洞)[일명 불무골]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줄곧 살았다. 학행(學行)으로 조정에 천거되어 진사(進士)가 되었고, 1380년(우왕 6) 이성계(李成桂)가 전라도 운봉(雲峰)에서 왜장 아지발도(阿只拔都)를 무찌를 때 자진하여 군량 공급을 맡았다. 여양유와 이성계와의 만남을 『경산지(京山志)』에서는 “고려 후기 이 태조가 왜장 아지발도를 정벌하러 갈 때 그의 집에서 밥을 먹고 낮잠을 한숨 자고 갔다고 한다. 그 집은 임진왜란 때 불탔다.”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아마 이 일을 계기로 이후의 일이 이루어진 것 같다. 운봉 전투에서 크게 승리한 이후 논공행상에서 여양유에게는 삼중대광(三重大匡)의 훈호(勳號)가 내려졌고, 이후 세보(世譜)가 이룩되면서 여양유는 성산 여씨(星山呂氏)의 중시조(中始祖)가 되었다.
여양유와 정경 부인 벽진 이씨의 묘소는 모두 실전되었다.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백전리에 여양유의 재사(齋舍)인 경재당(敬梓堂)과 여양유 유허비가 있다. 경재당에서는 해마다 한식날 제사를 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