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0605 |
---|---|
한자 | 裵楔 |
영어공식명칭 | Bae Seol |
이칭/별칭 | 건부(建夫),중한(仲閑),서강(西岡)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강구율 |
출생 시기/일시 | 1551년![]() |
---|---|
활동 시기/일시 | 1583년 - 배설 별시 병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594년 - 배설 동래부사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595년 - 배설 경상우수사 제수 |
몰년 시기/일시 | 1599년![]() |
추모 시기/일시 | 1610년 - 배설 신원, 가선대부 병조참판 증직 |
추모 시기/일시 | 1873년 - 배설 자헌대부 병조판서 증직 |
출생지 | 배설 출생지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도남리
![]() |
성격 | 무신 |
성별 | 남 |
본관 | 성산 |
대표 관직 | 경상우도수군절도사 |
조선 후기 성주 출신의 무신.
배설(裵楔)[1551~1610]은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웠으나 처형되었다가 1610년(광해군 2년) 신원(伸寃)되어 증직되었다. 배설의 공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건부(建夫)·중한(仲閑), 호는 서강(西岡). 아버지는 선무원종 이등 공신(宣武原從二等功臣)에 책록된 배덕문(裵德文)이다. 부인은 송원(宋源)의 딸 야로 송씨(冶爐宋氏)이며 아들로 배상룡(裵尙龍), 배상호(裵尙虎)가 있다.
배설은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도남리에서 태어났다. 1583년(선조 16) 별시(別試) 병과(丙科)에 급제한 후 전생서 주부(典牲署主簿)를 역임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상우도방어사 조경(趙儆)의 군관으로 참전하였다. 조경이 추풍령에서 패했을 때 병력을 수습하여 항전하였다. 합천군수 재임 때 미승산성(美崇山城)을 축조하고 부산첨사로 전임되었다. 경상우도수군절도사(慶尙右道水軍節度使)에 임명되어 군함과 무기를 수리하였는데, 도원수에게 시국의 폐단을 지적하는 글을 올렸다가 밀양부사로 좌천되었다. 밀양부사를 거쳐 선산부사로 있을 때 금오산성(金烏山城)을 쌓고 우물과 못을 팠으며 혜창(惠倉)을 설치하였다. 1597년(선조 30) 경상우수사 재임 시 전라우수사 김억추와 함께 장작 귀선(粧作龜船)[판옥선을 거북 모양으로 꾸며 만난 전함]을 만들어 명량 해전의 승리에 기여하였다. 그해 7월 통제사 원균(元均)의 명령으로 웅천을 공격하였는데 급습하는 전략으로 잘 싸웠으나 전력에 큰 손실을 입었다. 칠천량 해전 초 전세가 밀리자 전선 12척을 이끌고 남해 방향으로 후퇴한 후 군사 시설과 군량을 불태우고 남은 백성을 피난시켰다. 기록에는 칠천량 해전이 끝나고 복귀한 후 신병 치료 차 전선에서 물러났다가 사라진 후 붙잡혀 처형되었다고 한다.
배설이 남긴 시조가 증손자 배석휘(裵碩徽)가 지은 『가범(家範)』에 전하는데 시조 문학사에서 의의가 있는 작품이다.
묘소는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명천리에 있다.
선무원종 일등 공신에 책록되었다. 1610년 가선대부 병조참판에 증직되었고, 1873년(고종 10) 자헌대부 병조판서에 증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