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0581 |
---|---|
한자 | 都衡 |
영어공식명칭 | Do Hyeong |
이칭/별칭 | 국전(國詮),행정(杏亭)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박세욱 |
출생 시기/일시 | 1480년![]() |
---|---|
활동 시기/일시 | 1519년 - 도형 현량과에 천거되어 급제 |
몰년 시기/일시 | 1547년 2월 24일![]() |
추모 시기/일시 | 1656년 - 도형 천곡서원 동사[향현사]에 봉안 |
출생지 | 도형 출생지 -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운정리
![]() |
수학|강학지 | 도형 수학지 - 경상남도 마산시 |
묘소|단소 | 도형 묘소 -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운정리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팔거 |
조선 전기 성주 출신의 유학자이자 문신.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운정리 출신의 유학자로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1454~1504]의 문하에서 유학에 입문하였다.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효렴(孝廉)과 학행(學行) 덕목으로 천거되어 급제하면서 벼슬길에 올랐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을사사화(乙巳士禍)로 파직되어 독서와 강학에 힘썼다.
본관은 팔거(八莒)[경상북도 칠곡군]. 자(字)는 국전(國詮), 호는 행정(杏亭). 증조할아버지는 도안(都安)이고, 할아버지는 생원으로 문명이 높던 도이경(都以敬)이다. 아버지는 도맹녕(都孟寧)이고, 어머니는 단양 우씨(丹陽禹氏) 우자선(禹孜善)의 딸이다. 장남으로 태어났다. 부인은 영산 신씨(靈山辛氏) 신서담(辛瑞聃)의 딸로, 슬하에 3남을 두었다.
도형(都衡)[1480~1547]은 1519년 4월 10일 책문(策問)을 거쳐 곧바로 정육품 성균관 전적(典籍)에 올랐다. 이후 호조, 형조, 병조의 좌랑(佐郞)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그해 겨울 기묘사화가 일어나면서,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1482~1519]와의 교분 때문에 파직되었다. 낙향하여 독서와 강학에 몰두하며 용암(龍巖) 박운(朴雲)[1493~1562], 묵재(墨齋) 노필(盧㻫)[1464~1532] 등과 교유하였다. 효제(孝悌), 궁리(窮理), 거경(居敬)을 대의로 후진을 양성하여 야계(倻溪) 송희규(宋希奎)[1494~1558], 신촌(新村) 송천주(宋天柱), 김경(金璟), 이격(李格) 등을 배출하였다. 인종(仁宗) 원년 1545년(인종 1)에 복직되어 전적(典籍)에 보임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그해 7월 명종(明宗)이 즉위하면서 곧바로 천거과(薦擧科)가 파방되었다. 이후 초야에 묻혀 충효의 도리를 다하였고 1547년(명종 2) 2월 24일 68세로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운정리 정침(正寢)에서 사망하였다.
성리(性理)의 실학(實學)에 치중한 학문적 삶을 보여 준 도형의 문집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도형의 후손인 도상훈(都相薰)이 1885년(고종 22)경에 편찬한 『행정선생실기(杏亭先生實紀)』가 1970년 효경당(孝敬堂)에서 간행되었다.
묘는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운정리에 있다.
1656년 천곡서원(川谷書院)[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수촌리] 동사(東祠)[향현사(鄕賢祠)]와 운천사(雲川祠)에 제향되었고, 1818년 효자 정려각(旌閭閣)이 세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