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0555 |
---|---|
한자 | 金洙 |
영어공식명칭 | Gim Su |
이칭/별칭 | 송정(松亭),해평군(海平君)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진갑곤 |
활동 시기/일시 | 1353년 - 김수 문과 급제 |
---|---|
활동 시기/일시 | 1363년 - 김수 성균 사예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363년 - 김수 이등 공신 녹훈 |
출생지 | 김수 출생지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
거주|이주지 | 김수 이주지 -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운정리
![]() |
묘소|단소 | 김수 묘소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창평리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해평 |
대표 관직 | 예조판서 |
고려 후기 성주 지역에 거주한 문신.
김수(金銖)[?~?]는 고려 후기 충목왕(忠穆王) 때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벼슬을 거쳐 대사간과 직제학, 개성윤(開城尹)에 이르렀다.
본관은 해평(海平). 호는 송정(松亭), 초명은 김수(金洙)이다. 시중 장렬공(莊烈公) 김훤술(金萱述)의 후손이다. 고조할아버지는 형조전서(刑曹典書) 김사필(金士筆)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성균 생원(成均生員) 김시생(金始生)이며, 할아버지는 추밀원 밀직사사(樞密院密直司事) 김균(金均)이다. 아버지는 상장군(上將軍) 김용선(金用宣)이고, 어머니는 밀직(密直) 장순(張純)의 딸 인동 장씨(仁同張氏)이다. 부인은 이상(貳相) 배현보(裵賢輔)의 딸 성산 배씨(星山裵氏)이다. 송은(松隱) 박익(朴翊)이 동서이다.
김수는 성산 사례동(沙禮洞)에 사는 배현보의 딸과 혼인한 후 고향 해평에서 운곡(雲谷) 대암촌(臺巖村)[현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운정리]으로 이주하였다. 그 뒤 팔거(八莒) 상지촌(上枝村)의 웃갓 마을[현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신리]로 옮겨 살았다.
충목왕 때 문과 아원(亞元)으로 급제하였고, 1363년(공민왕 12) 성균 사예(成均司藝)로 경성(京城)을 수복(收復)하는 데 공을 세웠다. 이어 대사간, 집현전 직제학, 개성유수에 이르렀다. 봉익대부(奉翊大夫) 예조판서를 지냈으나 가득 차면 넘침을 경계하여 벼슬을 사양하였다.
김수는 일선(一善)[현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에 있을 때는 매월 초하루에 학생들을 모아 강론을 하였고, 성산(星山)으로 이사하여서는 이숭인(李崇仁)과 도의(道義)로 사귀었다. 녹봉서당(鹿峯書堂)을 짓고 백록동(白鹿洞)의 규약에 의거하여 밤낮으로 학문을 연마하였다. 또 운곡방(雲谷坊)에서 정주자(程朱子)의 정사(精舍)를 일으키고 후학을 장려하였다. 천곡서원(川谷書院)의 건립이 여기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목은(牧隱) 이색(李穡)과는 같은 해에 과거에 급제한 벗으로 이색이 김수에게 보낸 시가 전한다.
묘소는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창평리 주봉(主峰) 간좌(艮坐) 언덕에 있다.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이 침입하였을 때 이를 토벌한 공이 있어 해평군(海平君)에 봉하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