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0440 |
---|---|
한자 | 百忍堂 |
이칭/별칭 | 성주 백인당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안포1길 36-1[안포리 535]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지아 |
건립 시기/일시 | 1661년![]() |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4년 4월 16일![]() |
현 소재지 | 백인당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안포1길 36-1[안포리 535]![]() |
성격 | 재실 |
양식 | 겹처마 지붕집 |
정면 칸수 | 4칸 |
측면 칸수 | 2칸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안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실.
백인당(百忍堂)은 조선 중기의 학자 이주(李𦁖)[1599~1669]와 이륜(李綸)[1597~1671]이 가문의 선조인 소부윤(少府尹) 이감(李戡)과 양양부사(襄陽府使) 이번(李蕃), 대사헌(大司憲) 이흥문(李興文)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재실이다. 이주의 본관은 경산, 자는 신언(愼彦), 호는 학가재(學稼齋)이다. 이천증(李天增)의 아들이다. 향시(鄕試)에 합격하였으나 회시(會試)에서 과장(科場)의 난잡함을 본 후, 과거를 단념하고 학문과 후학 양성에 전념하였다. 이륜의 자는 경언(經彦), 호는 사월정(沙月亭)이고, 이천봉(李天封)의 아들이다. 이주와 이륜은 한강(寒岡) 정구(鄭逑)[1543~1620]와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1554~1637]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이달신이 쓴 이주의 행장에 ‘백인재’ 이름의 유래가 나오는데, 9대가 함께 사는 당나라 장공예(張公藝)에게 당나라 고종이 화목하게 지내는 방법을 묻자 장공예가 종이에 ‘인(忍)’ 자 100자를 써서 올린 것에서 뜻을 취하였다고 한다.
백인당은 성주군 월항면 안포1길 36-1[안포리 535번지]에 있다. 경산 이씨(京山李氏) 집성촌인 백인 마을 위쪽에 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백인당은 1661년(현종 2)에 건립하였다.
태화문(太和門)으로 들어가면 왼쪽에 성주 백인당 향나무[경상북도 기념물]와 정면 4칸, 측면 1칸 규모의 관리사가 있고, 중앙의 중문을 지나면 백인당이 나온다. 백인당은 화강암 기단 위에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로 지었다. 중앙에 마루 2칸, 좌우에 온돌방을 1칸씩 둔 중당 협실형 겹처마 지붕집이며, 온돌방 앞에는 툇마루를 약간 내어 30㎝가량의 난간을 세워 놓았다.
백인당은 1994년 4월 16일에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백인당 경내에 있는 향나무는 수령이 300년 이상 되었는데, 2015년 7월 6일에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백인당은 경산 이씨 집성촌인 백인 마을의 이름이 유래한 곳이며, 조선 중기 이후 성주 지역에 정착한 경산 이씨의 대종재로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