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0375 |
---|---|
한자 | 東岡金宇顒神道碑 |
영어공식명칭 | Memorial Stone of Gim Uong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옥화리 산32-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도영 |
건립 시기/일시 | 1723년![]() |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1년 5월 14일![]() |
현 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옥화리 산32-1
![]() |
성격 | 신도비 |
관련 인물 | 김우옹|이현일|허목 |
재질 | 화강암|오석 |
크기(높이, 너비, 두께) | 귀부: 88㎝[높이]|250㎝[너비]|780㎝[길이]|비신: 216㎝[높이]|104㎝[너비]|28㎝[두께]|이수: 100㎝[높이]|150㎝[너비]|47㎝[두께]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옥화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학자인 김우옹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
신도비(神道碑)란 임금이나 고관 등의 평생 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남동쪽에 세워두는 것을 말한다. 김우옹(金宇顒)[1540~1603]은 남명 조식(曺植)[1501~1572]의 문인으로, 1567년(명종 22)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정자(弘文館正字), 병조참판, 대사성(大司成)을 거쳐 대사헌(大司憲)의 벼슬을 지냈다. 학문에 능하였으며, 문집으로 『동강집(東岡集)』이 있다.
동강 김우옹 신도비(東岡金宇顒神道碑)는 조선 선조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김우옹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723년(경종 3)에 건립되었다.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금산리에서 옥화리로 가는 도중의 옥화 마을에 위치한다.
비의 형태는 거북 받침대 위에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얹은 모습이다. 귀부, 이수는 화강암으로 모두 완전한 형태이고, 비신은 오석(烏石)으로 되어 있다. 전체 높이는 404㎝이고, 귀부는 높이 88㎝, 너비 250㎝, 길이 780㎝이며, 비신은 높이 216㎝, 너비 104㎝, 두께 28㎝, 이수는 높이 100㎝, 너비 150㎝, 두께 47㎝이다.
비문은 해서체(楷書體)로 되어 있으며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1627~1704]이 글을 짓고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글자를 집자(集字)하였다. 앞면과 뒷면은 각각 27행, 측면은 7행으로 새겨져 있다. 비문은 이현일이 1689년~1704년 연간에 지은 것이다.
1991년 5월 14일에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동강 김우옹 신도비는 주인공의 역사적 비중과 더불어 비문 찬자와 집자한 서체 등에 특색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