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0357 |
---|---|
한자 | 大川里古墳群 |
영어공식명칭 | The Ancient Tombs site at Daecheon-ri, Seongju |
이칭/별칭 | 성주 대천리 고분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대천리 산26-1 |
시대 | 고대/삼국 시대 |
집필자 | 남익희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2년 - 대천리 고분군 계명대학교 박물관에서 지표 조사 실시 |
---|---|
소재지 | 대천리 고분군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대천리 산26-1
![]() |
성격 | 고분군 |
양식 | 구덩식 돌덧널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대천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대천리 고분군(大川里古墳群)은 성주군 대가면 대천리 산26-1번지에 있다. 국도 제33호선 굴목 교차로의 북쪽에 접한 야산에 자리하며, 대가천(大伽川) 상류의 동안(東岸)에 해당한다. 고분군이 있는 곳은 고령군과 김천시, 성주군으로 통하는 삼각 지점으로, 고대부터 내륙 교통로상의 요충지로 추정된다.
대천리 고분군에 대한 정식 발굴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2002년에 계명대학교 박물관에서 지표 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조사 결과 성주군 대가면 대천리 까막구딩 마을 서쪽으로 뻗어 내린 능선 사면에서 10여 기의 고분을 확인하였다.
대천리 고분군에서 확인한 고분은 대부분 할석으로 네 벽을 쌓은 구덩식 돌덧널[수혈식 석곽(竪穴式石槨)]로 추정되며, 대부분 5세기~6세기대에 조영된 것으로 보인다.
지표 조사 당시 도굴로 인해 노출되어 있는 고분에서 긴 목 굽다리 항아리[대부 장경호] 동체부 편과 부가구연 긴 목 항아리[장경호] 경부 편, 짧은 굽다리 접시[단각 고배]의 대각 및 뚜껑[개] 편 등의 토기 유물을 확인하였다.
대천리 고분군이 있는 지역은 별다른 개발이 진행되지 않은 채 보존되고 있지만, 마을과 인접해 있어 경작지 개간 및 민묘 조성 등으로 훼손이 될 가능성이 있다.
대천리 고분군은 주변에 있는 대형 고총 고분군인 명천리 고분군(明川里古墳群)의 하위에 속한 고분군이다. 지표 조사로 확인한 유물들을 통해 5세기~6세기대 성주 지역 고분 문화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