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0294 |
---|---|
한자 | 知京山府事 |
영어공식명칭 | Jigyeongsanbusa |
이칭/별칭 | 본피현(本彼縣),벽진군(碧珍郡),광평군(廣平郡),대주도단련사(岱州都團練使),성주목(星州牧)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
시대 | 고려/고려 전기 |
집필자 | 김명진 |
1018년부터 1295년까지 성주 지역에 설치한 지방 행정 구역.
지경산부사(知京山府事)는 고려 현종 때인 1018년(현종 9)에 제정한 현 경상북도 성주의 고을 이름이었다. 정확히는 행정 구역 이름은 경산부(京山府), 그 책임 지방관은 지사((知事)라 하였다. 이는 당시 행정 구역 및 지방 관직의 이름을 함께 사용한 것이다.
고려의 지방 군현 제도는 태조 대인 940년(태조 23)에 처음 정비하기 시작하여 성종 대를 거쳐 현종 대에 비로소 완비되었다. 지방 군현 제도의 완비는 고려의 중앙 집권 강화의 주요 관건이었다. 그 과정에서 1018년에 현 성주군 일대에 해당하던 행정 구역을 경산부로 개칭하고, 그 책임 지방관인 지사를 두게 되었다.
『고려사(高麗史)』 「지리지」, 경상도, 경산부조에 ‘지경산부사’에 관련 내용이 있다.
“경산부는...(중략)...1012년(현종 3)에 단련사를 폐지하였다. 1018년에 지경산부사로 고쳤다. 1295년(충렬왕 21)에 흥안도호부(興安都護府)로 승격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경상북도 성주 지역의 행정 구역은 신라 때는 처음에 본피현(本彼縣)이었고, 경덕왕 때 신안현(新安縣)으로 개명했다가, 신라 말에 벽진군(碧珍郡)이라 하였다. 고려 때는 태조 왕건(王建)이 940년에 경산부로 승격했으나, 981년(경종 6)에 광평군(廣平郡)으로 강등되었다. 995년(성종 14)에 대주도단련사(岱州都團練使)라 했다가, 1012년(현종 3)에 대주는 유지한 채 도단련사를 폐지하였다. 1018년에 다시 경산부로 환원했다가, 1295년에 흥안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308년(충렬왕 34)에 성주목(星州牧)으로 승격되었다가, 1310년(충선왕 2)에 다시 경산부로 환원하였다.
1018년 경산부 재 설치 관련 사안은 현종 대에 완비된 지방 군현 제도의 실사례로서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