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0201 |
---|---|
한자 | 世宗實錄地理志星州牧 |
영어공식명칭 | Sejongsillok Jiriji Seongjumok |
이칭/별칭 | 『세종장헌대왕실록(世宗莊憲大王實錄)』「지리지 성주목」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이재두 |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地理志)」는 1454년(단종 2) 『세종실록』을 편찬할 때 만들어진 것으로, 1432년(세종 14)에 편찬한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에 4군 6진 등 일부 고을을 추가한 것이다. 성주목 수록 내용은 1425년에 편찬한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상주도 성주목관(尙州道星州牧官)」의 수록 내용을 바탕으로 중앙 정부에서 일정한 지침에 따라 보완한 것이다. 1973년 12월 31일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이 국보로 지정되었다.
8권 8책이다. 1면 28행에 1행의 자수는 30자이다. 성주목은 25행 분량이다. 권수제는 ‘세종장헌대왕실록(世宗莊憲大王實錄)’으로 되어 있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세종실록』 권150 「지리지」에서 경상도는 크게 경주부, 안동 대도호부, 상주목, 진주목으로 분류하여 수록하였는데, 성주목은 상주목에 이어 실려 있다. 「성주목」에는 신라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 성주목의 연혁, 속현과 그 연혁과 별호, 명산대천, 고을 사방 경계까지의 거리, 호구[속현도 따로 기재]와 군정의 수, 성씨[속현도 따로 기재], 인물, 토질, 풍속, 전결(田結), 토의(土宜), 토공(土貢), 약재, 토산, 자기소(磁器所), 도기소(陶器所), 읍 토성(邑土城), 가야산 석성(伽倻山石城), 역, 봉화, 산성, 대제(大堤) 등을 수록하였다. 호구와 성씨는 속현도 따로 기재하였는데, 『경상도지리지』와 대조해 보면 본주(本州)의 인구 5,807명은 남성만의 수치이다. 인물(人物)로는 이승경(李承慶)·이인복(李仁復)·이숭인(李崇仁)을 수록하였다. 규모가 큰 저수지인 대제로는 본주의 동정자제(東亭子堤)·소비곡제(所非谷堤)·극지제(極只堤)·죽제(竹堤)와 팔거(八莒)의 소리제(所里堤)·사라제(沙羅堤)가 있었다.
『세종실록』 「지리지 성주목」 은 『경상도지리지』와 함께 조선 전기 성주 지역의 지리 정보를 잘 보여 주는 자료이다. 또한 조선 전기 지방 행정의 방향성과 전국적인 규모의 인문 지리 정보를 잘 보여 주는 자료 중 하나로서 큰 가치와 의미를 가지고 있다.